오늘은 링크(LN,LINK)코인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링크(LN,LINK)코인 이란?
링크코인(LinkCoin)은 한국 네이버(NAVER)의 자회사인 일본 라인(LINE)이 발행한 암호화폐로, 라인의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여러 디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링크코인은 기존 암호화폐들과는 다르게 ICO(암호화폐공개)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2018년 10월 16일, 비트박스에 독점 상장하였고, 발행량은 유저보상 8억 개, 라인 테크 플러스 예비 비용 2억개로 총 10억 개 입니다. 화폐 단위는 LINK이며,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1,000,000 cony = 1 LINK) 허용합니다.
링크 에코 시스템 내에서는 수십, 수백가지가 넘는 카테고리 서비스를 보다 역동적이고 안정적이게 만드는것이 목표입니다. 개발자 뿐만아니라 사용자에게도 보상을 주며 토큰 교환의 번거러움없이 다양한 링크(LN,LINK)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게 목표입니다. 생태계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음악, 비디오, 웹툰, 상품결제, 송금거래, 게임 내 거래 등 무늬만 있는 시스템이 아닌 타 플랫폼들과는 다르게 이미 막대한 실 사용자들을 확보해놓았기 때문에 어느정도 믿을만한(?) 시스템 목표를 보여줍니다.
토큰 이코노미 흐름
사용자는 각 서비스의 보상 정책 에 따라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받습니다 . LINK는 콘텐츠 결제,
전자 상거래 또는 이체 참여, 게임 아이템 거래 또는 다른 암호화 자산과의 교환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라인코인 활용 사례로는 라인 페이, 라인 증권, 라인 쇼핑, 쎄타 tv(THETA.tv), 썸씽(SOMESING)등이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도 실질적인 활동을 보여주고있습니다.
*네이버 CBDC발행 모의실험 준비
다른 세부내용을 알아보기 전에 14일 나온 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국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클레이튼(KLAY) 코인이 한국의 CBDC발행에 있어 주도할거라 생각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네이버파이낸셜측에서 먼저 CBDC를 선점하기 위해 의지를 밝힌다는 내용의 뉴스가 떴습니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과 라인플러스가 구성한 TF(태스크포스)는 한은이 올 하반기 진행하는 'CBDC 모의실험'에 들어간다. CBDC는 기존 중앙은행 내 지준예치금이나 결제성 예금과는 별도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새로운 전자적 형태의 화폐다. 실제 환경이 아닌 가상의 환경에서 구축될 예정이다. CBDC는 법정통화로 동일한 비율로 현금과 교환이 보장되기 때문에 가치변동 위험이 있는 암호화폐와는 다르다.
하지만 이번 CBDC 모의실험에는 네이버파이낸셜뿐만 아니라 카카오와 LG CNS 등도 이번 사업 참여를 검토중 이라는 정보가 뒤에 전달되었습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중국, 스웨덴등 CBDC발행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주는 가운대 미국와 유럽에서도 CBDC 발행에 있어 적극적인 연구를 진행할 것 이라는 내용의 기사들이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박차를 가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링크(LN,LINK)코인 시세
전일 CBDC관련 뉴스가 나온 후 전일대비 +7%정도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45달러 한화 약 27만6천원 정도로 거래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대 350달러 부근까지 치솓았을때 링크코인을 구매하지 못했던게 아쉬웠는데 어느정도 조정을 거치는 모습을 보고 적정량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현재 비트프론트에서는 링크와 관련된 이자수익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레이튼을 예를 들자면 클레이스왑의 풀예치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만약 링크코인을 구매하시고 이자 수익 상품을 예치하시려는 경우 초대코드로 가입하시면 이자 수익 상품 이자의 20%를 추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해서 가입하시거나 VPQTJH 왼쪽 초대코드를 입력하시고 가입하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직어텐션토근(BAT) 간단한 코인 소개 (0) | 2021.05.11 |
---|---|
<베리(BERRY)> 코인 채굴하기 앱테크 방법 (1) | 2021.05.10 |